Who We Are
for your business transformation.




Eco System
The Invention Lab
SEA 시장
컴퍼니빌더 자회사 In Vietnam
국내
오픈이노베이션 전략 추진
Technology Scouting & Investment
In-House Startup Acceleration/Education
MVP 빌드센터
SW MVP 빌드센터 > 빌드엑스
사용자/고객 검증 센터
퍼포먼스 마케팅
법률 / 회계 / 특허 자문
법률자문
회계 / 사무 자문
특허 자문
오픈 이노베이션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

더인벤션랩은 국내 통신, 금융, 제조 계열 대기업과 함께 다양한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쌓은 노하우와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업에 최적화된 전략과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성공적인 결과물을 전달합니다.
스타트업을 가장 잘 이해하는 대기업의 조력자

더인벤션랩은 외부 기술 혁신 조직인 스타트업을 가장 잘 이해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파트너입니다. 11개 엔젤투자조합 및 합자조합을 운영하고 약 70개의 초기 스타트업팀을 투자, 육성하며 쌓은 스타트업 데이터베이스 및 딜소싱 역량을 기반으로 기업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아낌없이 지원합니다.
MVP 빌드센터를 통한 Rapid Prototyping 체계 구축

더인벤션랩은 혁신 아이디어 도출부터 개발까지의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합니다. 관계사 빌드엑스를 통해 기업의 사내 스타트업팀이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어플리케이션을 빠르고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Cross-Border 비즈니스

더인벤션랩은 베트남(호치민) 컴퍼니빌더 자회사를 통해 현지의 기술 기반 스타트업팀을 발굴하고 인큐베이션 후 M&A를 목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에 검증된 스타트업 비즈니스 모델의 아시아 시장 진출과 후속 투자를 지원합니다.
CEO 및 벤처파트너

김진영
대표이사, 경영학박사(Ph.D)
김진영 대표는 97년~2004년 까지 소프트뱅크코리아의 미디어 계열사인 소프트뱅크미디어에서 전략기획을 담담하고 소프트뱅크리서치&컨설팅의 Managing Director를 역임하였다. 2003년 유무선 통신/단말 등 IT 시장에 특화된 컨설팅 기관인 로아그룹을 일본 동경에 설립하였고(Co-Founder) 이후 2004년 10월, 로아컨설팅 한국법인을 설립하여 14년 간 국내 굴지의 이동통신사업자 및 단말제조사를 대상으로 BM개발, 신규사업전략 컨설팅을 주도하였다.
2017년 2월, 로아컨설팅 대표이사직을 사임하고 두번째 창업으로 별도 독립법인인 더인벤션랩(구 로아인벤션랩)을 설립하였으며, 대기업/중견그룹사의 변화관리 전략관점에서 DX(Digital Transformation) 및 Open Innovation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동시에, 혁신 기술 기반 스타트업을 발굴-육성-초기투자하는데 집중하고 있다(중기부 등록 액셀러레이터기관, TIPS운영사).
더인벤션랩은 70여 개 이상의 초기 스타트업에 집중적으로 시드투자를 집행하였다. 대표적인 포트폴리오 기업으로 집닥(시리즈 C, 구주회수완료), 펫닥(구주회수완료, 시리즈 B), 얌테이블(시리즈 B), 홈마스터(중부도시가스 매각완료), 자란다(시리즈 B), 보이스루(시리즈 B), 지구인컴퍼니(시리즈 B), 스토어카메라(시리즈 A),
오케이쎄(시리즈 A2), 고투조이(시리즈 A2), 고미(시리즈 B), 카수리(시리즈 A) 등이 있다.
2020년부터 코스닥 상장사인 대원-국보디자인-보령제약 등과 프로젝트 펀드를 결성하여 시드투자를 적극적으로 진행 중이며, 대기업/중견그룹 사내벤처/애자일 조직의 Business Transformation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다.
주요 전문영역/관심분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대기업의 Open Innovation 전략과 실행방법론 : Inbound & Outbound OI 관점
-Inbound OI : 대기업의 내부 OI전담조직 및 애자일 조직과 외부 기술스타트업간의 PoC 및 실험조직 구성, 신규사업모델 개발과 발굴, 공동초기투자 및 사후관리/Capital Gain
-Outbound OI : 대기업 사내벤처/스타트업팀 육성 및 분사 전략, 분사기업에 대한 공동 초기투자
-레퍼런스(Inbound OI) : SK텔레콤, 현대모비스, KB국민카드, 웰컴금융그룹 등
-레퍼런스(Outbound OI) : 삼양홀딩스, 코오롱인더스트리, 현대산업개발, 현대자동차그룹, CJ올리브네트웍스 등
2. 대기업/중견그룹사의 DX전략 추진 방법론과 BM Innovation
-대기업/중견그룹사의 DX전략추진 방법론과 프로세스 설계, Business Model Innovation 프로세스와의 연계 및 구축
-고객경험기반의 디자인씽킹 메쏘드 개발 및 적용(아마존 Narrative Memo 및 Working Backward Process의 내재화 및 적용 등)
-레퍼런스 : SK이천포럼(디자인포럼), LG전자 등
3. 디지털 플랫폼 전략수립과 BM Innovation
-기존 Legacy Player의 디지털 플랫폼 전략수립 방법론 및 추진체계 수립
-플랫폼 전략 게임을 이용한 Platform Design Process
-레퍼런스 : 교보생명, SK텔레콤(아카데미), LG인화원(EnDP과정), 한솔홀딩스, 토파스정보통신 등
국내에서는 드물게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의 양면시장 형성과 진화에 대한 연구로 경영학 박사(Ph.D)를 받았으며(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 박사), 저서로 ‘세상을 바꾸는 혁신아이콘 인테러뱅'(2011), ‘버티컬 플랫폼 혁명'(2012), ‘비즈니스 모델 게임'(2013),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어떻게 할 것인가?(2017)’, ‘아마존은 거꾸로 일한다(김진영, 정우진 공저, 2018)’ 가 있다. 고려대학교 졸, HSE(Helsinki School of Economics) 경영학 석사(MBA) 졸.

김석필
공동대표, 벤처파트너
김석필 공동대표겸 벤처파트너는 삼성그룹 싱크탱크 조직인 미래전략그룹에서 다양한 사업전략수립 프로젝트 매니저로 활동하였으며, 이후 삼성전자 유럽본사 구주총괄 사장, 삼성전자 본사 글로벌 마케팅 실장(CMO, 부사장)을 역임한 글로벌 영업-마케팅-전략전문가이다. 삼성전자 영국, 프랑스, 유럽 책임자로 16년 동안 글로벌 마케팅/전략을 총괄하였고, 모바일폰, TV, 컴퓨터 모니터 등 IT, 가전제품 영업경험 및 담당제품 전품목의 시장점유율 1등을 달성한 바있다.
김석필 공동대표/벤처파트는 더인벤션랩이 조성한 ‘베트남진출 신기술 투자조합’의 리드 출자자로 합류하였으며, 한국의 초기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 특히 아시아의 센터로 부상하고 있는 베트남 시장진출의 실질적 산파역할을 하고 있다. 현지 기업 네트워크 구축, 대관, 현지 마케팅 전략수립 측면에서 독보적인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현재 베트남 및 동남아시아 지역의 컨설팅-투자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vivacecne의 CEO를 겸하고 있다.
HEC(France Grandes Ecole) MBA, 한국 외국어 대학교 졸(불문학, 경제학)
주요이력
Samsung HQ Chief Marketing Officer (CMO) Chief of Mobile Phone Sales/Marketing Head of B2B, CSR, GR
Samsung Europe President & CEO (2010 – 2013)
Samsung France President (2007- 2010)
Samsung UK President (2005 – 2007)
Samsung Group Chairman’s Office Global Strategist Group (1997 – 2004)
2019/20
– Vietnam Investment Fund for Startup Companies (No. 1 & 2)
2019 VKBIA
– Vietnam Korea Business Investment Association Founding Member
2005-2015 Samsung Electronics
– Corporate Marketing Case: Sports Marketing (Chelsea Sponsorship)
2013 Samsung Electronics Europe HQ
– Samsung Electronics Europe Turnover: Historic Record 39 Billion USD
2012 Samsung Electronics
– Corporate Marketing Case: Sports Marketing (London Olympics)
2007-2010 Samsung Electronics
– Culture Marketing (French Gastronomy , Chef Marketing)
1997-2003 Samsung Global Strategy Group
– Consulting for Samsung Electronics (Digital Marketing Strategy, Market Driven Strategy, Future Business Road Map Strategy)

정상철
벤처파트너
정상철 벤처파트너는 삼성생명 자산운용본부를 총괄하는 전무를 역임하고, 더인벤션랩의 벤처파트너로 활동하고 있다. 정상철 벤처파트너의 주요 이력은 다음과 같다.
주요이력
Samsung Life Senior Advisor to President
Samsung Global Strategy Group General Manager
Samsung Life Manager (Asset portfolio management, financial products investment)
2000-2017 Samsung Life
– Asset liability management strategy (2000)
– Database marketing strategy (2002)
– CRM(Client Relationship Management) strategy for SLI (2004)
– New market entry strategy into Southeast Asian Countries (2005)
– Investm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2008)
– Masterplan for asset management business for SLI (2014)
– M&A opportunities in global asset management industry (2015/16)
– Searching for M&A targets in alternative investment sector (2017)
2003-2009 Samsung Group
– Establishment of global talents training program (2003)
– Overseas market entry strategy for financial affiliate (2004)
– Venture Business Strategy (2005)
– E-business strategy for Samsung Finance Companies (2005)
–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2006)
– Benchmarking for Best Practices in Global Hotel Companies
– New business development in Middle East for Samsung Engineering
– New business opportunity in Cruise business for Samsung Heavy Industry
2006/7 Samsung Security
– Global partnership development in investment banking business (2006)
– CRM strategy for Samsung Security (2007)
2003 Samsung Fire & Marine
– Overseas business development strategy in Vietnam and Thailand

함종민
벤처파트너
함종민 벤처파트너는 삼성전자, 네이버, LF CTO(부사장) 및 AIRI(인공지능연구원)의 부사장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AI센터 초대 센터장/교수로 재직중이다. 함종민 교수는 더인벤션랩의 베트남진출신기술투자조합 및 4호 조합의 출자자이면서, AI분야 투심위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함종민 벤처파트너의 주요 이력은 다음과 같다.
주요이력
Naver VP / Naver Service Officer, Chief of Portal Service Engineering & Technology
2019-Present AIRI
– Developing AI agent service in Insurance and Finance industry
– Developing state of art Vision technology for object and human behavior recognition
– Developing deep learning based motion capture technology for video production industry
2015-2018 LG Fashion
– Developing the mobile commerce system and achieved sales of $ 400 million
2010-2014 Samsung Electronics
– Developing BigData system and dashboard for sales and retail of Samsung
– Design and development of service softwares for smartphone and TV
2006-2010 Naver
– Developing service platform for all NAVER applications
– Designing and developing all portal services of NAVER
2000-2005 Wisepost
– Developing avatar commerce system and providing avatar MSN messenger service with Microsoft
오픈이노베이션&투자팀(OI&Investment Team)

김민수
오픈이노베이션&투자팀
팀장, 수석 심사역
김민수 팀장은 미디어 스타트업(글랜스 TV)에서 콘텐츠 제휴 사업 및 플랫폼 개발 프로젝트 PM을 담당하였다. 외교부의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문화외교 추진 전략>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OTT 산업 발전 연구반>에 민간 전문가로 참여한 바가 있다.
더인벤션랩에 합류한 이후, 신규 DX 및 OI 관련 신규서비스 사업개발 담당, 하나금융TI, LG인화원 LG-MBA DX 과정 PL 등 다양한 대기업과의 Open Innovation Program 기획/운영업무를 맡고 있다. 또한 플랫폼 기획역량을 활용하여, 더인벤션랩의 대기업/중견그룹사 애자일 조직(사내벤처/혁신TF 조직 대상) 용 Business Idea Creation Tool(SaaS)인 인벤션덱(Invention Deck)의 기획-운영을 주도하였으며,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리얼타임 화이트보드 솔루션인 MIRO의 국내 독점 리셀러 계약 체결 및 운영/관리를 리드하였다.
현재 국보디자인, 보령제약과 공동으로 조성한 투자합자조합, 펫케어초기스타트업 투자조합, 디지털이노베이션 투자조합의 핵심운용역으로 활동 중이다.
- 전문투자분야 : 디지털헬스케어 및 AI, SaaS 분야
한국외국어대학교 학사 졸업 (경영학)

송수현
오픈이노베이션&투자팀
연구원,심사역
송수현 연구원(BA)은 국내 바이오 스타트업의 IR 프로젝트, 포춘 50 선정 기업의 산업 리서치 등 다수의 컨설팅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으며,전략컨설팅 KEARNEY와 KPMG에서 인턴으로 근무한 경험이 있다.
더인벤션랩에 합류한 이후 ESG, 푸드테크, 펫케어에 대한 시장 리포트를 작성하였으며, 펫, 소비재, e커머스 분야의 스타트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현재 펫케어초기스타트업 투자조합, 디지털이노베이션 투자조합2호의 심사역이다.
- 전문투자분야 : 펫테크, Consumer Commerce/Tech 분야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경제학 학사
투자분석관리팀(Investment Management Team)

김민정
투자분석관리팀
선임 연구원
김민정 선임은 관광경영학을 졸업 후 3년간 해외TC파트에서 근무하며 한국벤처캐피탈 경영자들의 해외IR,박람회 및 포럼 등을 담당하였다. 이후 벤처캐피탈 회사의 투자관리/리스크팀으로 영입되면서 한국모태펀드의 벤처기업투자 및 사후관리의 경험으로 더인벤션랩에 합류하게 되었다.
현재 더인벤션랩 투자분석관리팀에서 펀드 결성 및 청산을 주 담당으로 이 외에도 피투자업체의 서포트 및 사후관리를 담당하며 초기단계 스타트업 투자의 지원을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박선미
투자분석관리팀
연구원
박선미 연구원(BA)는 대학에서 비서경영학을 전공하고, 대기업에서 임원비서 및 경영지원 업무를 담당했다.
대기업 제조사업부문에서 제조 생태계를 경험하는 동시에, 경영관리팀 소속으로 사내 주요행사 관리, 사후지원 프로세스에 관한 경험을 확보하였고, L사의 센터장 비서로 근무하면서 대기업 프로젝트 진행 시 지원업무역량을 쌓았다. 대기업 퇴사 후, ERP정보관리사 및 전산회계, 세무자격증을 취득하였다. 이후 더인벤션랩 투자분석및관리팀에 합류하여, 투자조합 결성, 스타트업 투자집행, 사후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행정 및 경영지원 업무를 전담하고 있다.
용인송담대 비서경영학 졸

오주영
투자분석관리팀
연구원
오주영 연구원(BA)은 학내 기자활동을 통해, 스타트업에 대한 인터뷰 및 리서치 취재 진행하면서 창업생태계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본격적인 창업생태계 입문을 위해 K-MOOC에서 주최하는 창업 관련 교육을 2가지를 이수하고, 투자유치 관련 자격증(투자자산운영사, 회계)을 취득하였다.
스타트업 사례, 트렌드, IT동향 등의 방면을 파악하기 위해 아티클 스터디 및 분석 스터디에 참여하고, 스타트업 생태계 관련 정보 및 지식을 전하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IT 창업동아리 프로젝트 PM을 맡으며 앱 서비스 알파버전 론칭을 이끌기도 했다. 현재 더인벤션랩 투자분석관리팀에 합류하여, 투자조합 결성/집행관리 및 팁스(TIPS) 코디네이터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통번역학과/경제학 전공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팀 (Startup-Accelerating Team)

강재민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팀
부대표
강재민 부대표는 GM Daewoo에서 엔지니어로서 활동한 이력을 시작으로, 디지털 제품 및 콘텐츠 제작과 유통, 의류, 광고 에이전시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에서의 경험을 기반으로 기술과 시장, 그리고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넓혀왔다.
이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과 감성적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BM 및 서비스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고객개발, MVP 테스트의 정교화 등 초기 스타트업의 성장지표를 만드는 데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또한 대기업 Open Innovation Project의 PM으로 참여하여 혁신조직인 스타트업팀과 대기업 내부 현업 팀과의 PoC(Proof Of Concept) 테스트를 주도하고 있다.
김진영 대표와 함께 ‘비즈니스 모델 게임’ 방법론의 기획/개발에 공동참여하였으며, 최근에는 사내벤처 및 스타트업팀의 Agile Transformation을 위한 린 스타트업 패키지 프로그램인 인벤션킷을 공동개발하여, 대기업 사내벤처 및 사내 스타트업 팀, 나아가 사내 혁신조직 대상으로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M.Start 프로그램, KB국민카드 Future9 등 대기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주도했다. 저서로 ‘스티브잡스 스토리그래프'(2012, 김석기 공저), ‘비즈니스 모델 게임(2013, 김진영 공저)’등이 있다.
- 투자담당분야 : Vertical O2O/On-Demand Service, Consumer E-Commerce
성균관대학교 학사 졸업(산업공학)
SKK GSB MBA 졸(MIT Sloan 연계과정)

한승희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팀
팀장
한승희 팀장은 디자인과 기획, 스타트업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이다.
브랜딩 및 디자인 씽킹에 대한 관심을 기반으로 브랜딩 에이전시와 UX 디자인 스타트업에서 다수의 브랜딩 컨설팅 및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이후 창업 생태계에 몸담아 경기콘텐츠진흥원에서 창업 기업 발굴 및 코칭, 창업 센터 개소, 프로그램 기획 운영에 참여하였고, 국내 최대 스타트업 미디어인 플래텀에서 국내 스타트업 투자 및 중국 IT 트렌드 보고서를 총괄하였다.
발간 보고서로는 <국내 스타트업 투자 동향 보고서(2015, 2016, 2017)>, <중국 BAT 투자 동향 보고서(2014-5, 2016, 2017)>, <플래텀 차이나 리포트(신유통, 스마트카, VR 등)>등이 있다.
더인벤션랩에 합류한 후,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세스 설계 및 커뮤니케이션 도구 개발, 디자인씽킹 프로그램 기획 운영 등 오픈 이노베이션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최적화된 디자인 방법론 및 가시화 작업을 총괄하고 있다.
아마존의 이노베이션 방법론인 Narrative Memo 및 Working Backward 가이드북 및 워크시트 개발, 더인벤션랩의 대기업 사내벤처/스타트업 용 MVP Tool Kit인 ‘인벤션킷(Invention Kit)’ 등의 기획, 디자인, 개발을 주도하였다. 또한 더인벤션랩에서 자체 개발한 대기업/중견기업 사내벤처/혁신TF 조직 대상의 Business Transformation 솔루션(SaaS)인 인벤션덱의 기획 및 디자인 주도,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글로벌 1위 Real Time Whiteboard SaaS인 Miro의 국내 도입 및 한국화 작업에 참여하였다.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졸

안여경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팀
연구원
안여경 연구원(BA)은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사용자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였고, ㈜노티플러스, ㈜의식주컴퍼니, ㈜배럴 등 다수의 스타트업 컨설팅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스타트업 투자관리 서비스 ‘캡틴'(CaptIN)의 마케터로 재직하며 스타트업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였고, 스타트업 투자 분석 콘텐츠를 제작한 바 있다.
LG MBA 고객경험 혁신 해커톤, LS ELECTRIC Venture Volt 등 다수의 대기업 사내벤처 및 애자일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 소비자학 학사
前) ㈜플릿코 Marketer

구용원
OI Advisory Group
파트너, 액셀러레이팅 전담
구용원 파트너는 국내 코스닥 상장사에서 서비스&솔루션 사업화 전략 업무를 담당(’05~12)하고, 삼성, SKT, KT와 함께 신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런칭하는 업무를 진행해 왔다. ’12년 창업 이후 1차례 피봇팅을 거쳐 현재 인플루언서 기반 마케팅 플랫폼인 페이버스(FAVVRS)를 상용화하여 운영중이다. 페이버스는 인플루언서의 진성 팔로워를 분석하여 포스팅에 관심을 갖는 사용자 대상 관심 기반 컨텐츠, 상품 정보를 DM(Direct Message)으로 자동 발송하는 서비스이다.
구용원 파트너는 엑셀러레이팅 및 코칭 파트너로 활동 중이며, 사업화 초기에 필요한 서비스, 플랫폼 기획, 와이어프레임 제작, MVP 런칭 분야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더인벤션랩의 초기 포트폴리오 기업 및 사내벤처 팀에게 실질적인 엑셀러레이팅 코칭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LG전자, 코오롱인더스트리, 현대산업개발 등 사내벤처 육성사업 프로젝트에서 플랫폼 기획, 와이어프레임 & MVP 제작에 관한 육성코치로 참여한 바 있다.
경희대학교 경영학 석사 졸업
액셀러레이팅 코칭 분야
-와이어프레임 기획과 설계
-MVP 기획 및 개발

김정수
OI Advisory Group
액셀러레이팅 파트너
김정수 파트너는 대우조선해양에서 프로젝트 공정 관리 업무를 담당(’12~13)했고, 이후 더인벤션랩 소속으로 액셀러레이팅 실무를 수행해 왔다(’15~20).
린스타트업, 비즈니스 모델 수립, IR사업계획서 작성, 추정손익계산 등 다양한 주제로 예비창업자/초기 스타트업 대상 강의, 멘토링, 컨설팅 등을 진행했고, 더인벤션랩이 운영주간사로 참여한 KB국민카드 Future9, 웰컴저축은행 웰컴굿스타트업 등 대기업 Inbound OI 프로그램의 실무진으로 참여하였다.
퇴사 후 린스프린트를 창업하여 스타트업 육성 기관/부서 및 초기 창업자/창업기업에 강의/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김정수 파트너는 당사 액셀러레이팅 파트너로서, 사업화 초기 고객 개발 및 검증, 비즈니스 모델 수립 및 진단, 핵심관리 지표 기획과 설정, 유닛이코노믹스 모델링, IR사업계획서 작성 등 극초기/초기 스타트업 및 사내벤처 팀 대상의 실질적인 액셀러레이팅 코칭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 학사 졸업
액셀러레이팅 코칭 분야
-고객 개발 및 검증
-비즈니스 모델 수립 및 진단
-핵심관리 지표 기획과 설정
-비즈니스 수익 타당성 논리 수립(Unit Economics & Financial Simulation)
-IR 사업계획서 작성(Pitching Deck & Metrics Deck)

이원엽
OI Advisory Group
파트너, 액셀러레이팅 전담
이원엽 파트너는 CJ E&M에서 영화/방송 사업부에서 마케팅을 담당( ’11~12)하고, 2013년 (주)굿웨이브를 공동창업하여 ‘웨딩 촬영 패키지 비교견적 서비스, 김메리’를 Exit 한 경험을 갖고 있다. 2018년 (주)씽즈를 창업하여 ‘여성건강 헬스케어 플랫폼, 먼슬리씽’을 서비스(10만 유저)하고 있으며, 현재 여성의 생체 라이프스타일 주기에 맞춰 여성용품을 정기배송하는 앱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원엽파트너는 퍼포먼스 마케팅 및 데이터 분석 전문가로 활동 중이며, 사업화 초기 MVP 모델을 제작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마케팅 컨셉, IMC 전략, 퍼포먼스 마케팅, 데이터 분석 분야의 전문가이다. 더인벤션랩이 운영사로 참여중인 신용보증기금 Startup NEST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창조경제혁신센터, 국민대학교, 고려대학교 등의 기관/학교에서 관련 분야 워크샵 및 강의를 통해 창업 초기기업을 위한 코칭에 함께 참여 중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방송영상 학사 졸업
액셀러레이팅 코칭 분야
-마케팅 컨셉
-IMC 전략
-퍼포먼스 마케팅
-데이터 분석

정운영
OI Advisory Group
파트너, 액셀러레이팅 전담
정운영 파트너는 대한민국 위치기반 서비스 공모전에서 Wi-Fi 기술을 활용하여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는 Wi-Fi 서비스 전문가로, 글로벌 Wi-Fi 마케팅 플랫폼 Waffle 서비스의 공동창업자로 스타트업을 시작하였다. 서비스 기획 및 개발 PM을 담당하여 B2B 시장에 맞게 출시하였고, 통신3사, SPC, 연합뉴스 등 국내 70여개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베트남 등 현지 파트너 발굴 및 계약체결을 통해 직접 서비스를 런칭하여 운영하였다.
이후 글로벌 Wi-Fi 공유 앱 서비스 CashFi와 라이브 푸드 커머스 플랫폼 BeMeal를 서비스하는 세븐플로어를 공동창업하였으며, 경영 전략, 투자, 정부지원사업, 조직관리 및 경영지원업무 등을 담당하였다.
정운영 파트너는 액셀러레이팅 및 코칭 파트너로 활동 중이며, 창업 및 피봇, 국내외 투자유치/정부지원사업 성공 경험과 다양한 팀 프로젝트 진행 경험을 바탕으로 삼성멀티캠퍼스, 고양시, 서강대 외 6개 대학 등에서 창업코칭, 심사, 강의, 멘토링 등을 진행해왔으며, 더인벤션랩의 초기 포트폴리오 기업 및 사내벤처 팀에게 실질적인 액셀러레이팅 코칭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건국대학교 국제무역학 학사 졸업
액셀러레이팅 코칭 분야
-팀빌딩, 보상, 인사 및 조직문화
-사업 아이디어 및 사업타당성 검증
-사업계획서 작성 및 IR
-펀드레이징(투자, 융자, 정부지원) 실무전략 및 관리

김희원
OI Advisory Group
파트너, 액셀러레이팅 전담
김희원 파트너는 대학 재학 시절, (주)위앤팩토리를 창업하여 블루투스와 Wi-Fi 신호를 활용한 IT 솔루션을 개발하였다. 해당 솔루션을 활용하여 CJ, KT렌터카, 딜로이트 등 국내 유수의 기업들과 협업하였으며, beLaunch 2014 Top 20, Red Herring 2014 Top 100 스타트업에 선정되었다.
이후 글로벌 Wi-Fi 광고 플랫폼인 Waffle을 개발/운영하는 (주)리앤컴퍼니에 사업 이사(CMO)로 합류하여 비즈니스 모델 수립, 마케팅 및 영업, IR, 공공/민간 사업 입찰 업무를 총괄 담당하며 미국, 한국 등 4개국에서 해당 서비스를 운영하였다.
2017년, (주)세븐플로어를 공동창업하여 글로벌 Wi-Fi 공유 앱 서비스인 CashFi를 6개 언어, 17개국에 출시하였고, 데이터 기반의 리워드 앱인 DACOTA를 개발하여 20만 다운로드 회원을 유치하였다. 또한 국내 최초의 라이브 푸드 커머스 플랫폼인 비밀(BeMeal)을 개발하여 40여개에 달하는 식품 판매업체를 확보하며 성공적으로 출시했다.
김희원 파트너는 경희대, 서강대, 연세대, 청년창업사관학교(부산, 충북), 국방부 등에서 창업 코칭 및 강연을 진행하였다. 주요 코칭 분야로는 린 캔버스를 활용한 초기 사업 모델의 기획, 와이어프레임 기반의 서비스 기획, 소셜미디어와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퍼포먼스 마케팅, 스타트업을 위한 사업계획서(Pitch Deck) 작성과 발표, 정부 지원사업 및 사업 입찰 전략 등이 있다.
서강대학교 경제학/경영학 학사(복수 전공)
액셀러레이팅 코칭 분야
-초기 사업 모델 기획(린 캔버스)
-서비스 기획(컨텐츠/기능 구조도, 와이어프레임, 스토리보드)
-퍼포먼스 마케팅(소셜미디어, 온라인 플랫폼)
-사업계획서 작성과 발표
-정부 지원 사업/사업 입찰 전략
경영커뮤니케이션팀(Management & Communication Team)

유예미
경영커뮤니케이션팀
프로
유예미 프로는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 홍보실 인턴기자시절 코이카의 ‘혁신적 기술 프로그램(Creative Technology Solution,CTS)’ 사업을 취재하면서 예비 창업가, 스타트업 관계자를 만나며 스타트업 생태계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어 스타트업 하비풀 매니저로 일하며 초기 스타트업의 성장과정을 경험했다. 이러한 스타트업 경험을 토대로 현재 더인벤션랩에 합류하여 다양한 OI 프로젝트 지원, 사내 행정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동아대학교 신문방송학과 학사 졸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기업의 혁신과 변화를 함께 주도할 분을 찾습니다.
MVP Build Center

SW, Application

HW, Product+Application
User Testing

Performance Marketing

Startup Back-Up Partners

법률자문

세무 / 회계 자문

상업등기 / 증가자문

특허출원자문
IR, Startup DB

